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7월부터 임신 초기와 후기의 여성 공무원은 하루 2시간 단축근무가 의무적으로 보장됩니다. 행정안전부는 ‘지방공무원 복무규정’ 개정안을 통해, 그동안 눈치 보며 사용해야 했던 모성보호시간을 이제는 신청만 하면 무조건 허가받을 수 있도록 바꿨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모성보호시간이란?

     

    모성보호시간은 임신 중인 공무원이 병원 진료나 휴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루 2시간의 유급 단축근무 제도입니다. 기존에도 존재하던 제도였지만, 복무권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기도 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무엇이 바뀌었나요?

     

    항목

    개정 전

    개정 후

    사용 시기 신청 시 승인 필요 신청 시 무조건 허가 (의무화)
    대상 임신 기간 전반 임신 12주 이내 또는
    32주 이후 여성공무원
    사용 시간 하루 2시간 하루 2시간 (동일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모성보호시간, 어떻게 사용하나요?

     

    • 사용 가능 시간: 하루 2시간 이내
    • 사용 조건: 하루 최소 4시간 이상 근무
    • 중복 불가: 육아시간과는 같은 날 중복 사용 불가
    • 적용 대상: 임신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 여성공무원

     

    예: 오전 9시 출근 → 오후 3시 퇴근 가능
    단, 1일 2시간 사용 시 최소 근무시간 4시간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관련 제도도 함께 바뀌었어요!

     

    • 남성 공무원 '임신검진 동행휴가' 신설: 배우자 검진 동행 시 최대 10일 특별휴가 가능
    •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: 출산 예정일 30일 전부터 사용 가능 (기존은 출산 후에만 가능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런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!

     

    • 임신 중인 지방·국가 공무원
    • 공무원 인사 담당자
    • 임신 계획 중인 여성 공무원
    • 공직자의 워라밸 정책에 관심 있는 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마무리하며

     

    이제는 더 이상 눈치 볼 필요 없습니다.
    “모성보호시간”은 임신한 공무원의 권리이며, 국가가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
   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지원인 만큼, 해당 대상자라면 꼭 신청해서 건강한 임신과 업무의 균형을 맞추시길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함께 보면 좋아요

     

    공무원 임신 관련 휴가 총정리

    남성공무원 육아휴직제도 한눈에 보기

     

     

    모성보호시간 사용 의무화! 하루 2시간 단축근무 가능해졌어요

    ※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시행되는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개정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    반응형